728x90
반응형

방통대 기말고사가 끝나고 정말 많은 일이 있었던 것 같다.
처음엔 대학교 여름방학이라는 것도 실감이 안나서 그냥 시간을 낭비하고 있었다.
그렇게 지내다가 문득, 네이버에서 방통대 학생도 엄연한 대학교 재학생이라고 받아들여서
나를 심사기준 부적합으로 서류를 떨어뜨린 것이 생각났다.

그렇다. 난 지금 대학교 3학년인 것이다.
비록 방통대라서 사이버 대학교여도 말이다.
여기서부터 지금까지의 내 이야기가 시작된다.

놀면서 디지털 다이어리의 작업을 시작하고 종료하기까지 약 1달 좀 길게 걸렸다.
(프로젝트 반려도 있었고, 놀면서 며칠을 버린 적도 있기 때문이다.)
4계절을 컨셉으로 담은 다이어리들은 내가 직접 디자인 자료들을 참고해서 디자인을 했으며,
내 아이디어와 남친의 아이디어, 엄마의 아이디어가 합쳐진 디지털 다이어리다.

https://link.tumblbug.com/guVrr0UGNBb

 

계절이 바뀌어도 갓생은 계속된다! 포시즌 플래너

갓생 살고 싶은 사람 모여라! 3개월 단위로 시간과 목표 관리해주는 디지털 플래너 등장!

www.tumblbug.com

이 다이어리인데, 어제 링크가 오픈됐다. 정말 뿌듯한 경험이 아닐 수가 없다.
비록 잘 안되더라도 이 프로젝트의 시작이 내겐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프로젝트 꼭 둘러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JPT 공부도 시작했다.
항상 언젠가 해봐야지 하고 미루고 있었는데, 이제서야 일본어 공부를 "제대로"하게 됐다.
내가 두려워했던 한자도 지금 그래서 같이 공부중인데, 역시...
생각보다 한자는 어려웠다. 간단한 단어인데도 한자로 나오면 알아보지 못하는 지경이다.
요미가나를 보면 딱 아는데, 이게 한자로만 나오니까 독해가 너무 어려웠다.
가장 최근에 모의시험을 봤을 때는 총 듣기 100문제 중에 80문제 맞았고,
독해는 100문제 중에 55개를 맞아, 580~620점이었다.

생각보다 일본어의 벽은 험난했다.
난 일어전공자는 아니고, 야매로 일본어를 듣고 읽었기 때문에 더 그렇게 느껴지는 듯 하다.
(애니메이션부터 성우 인터뷰 영상과 노래와 만화책까지....)
그렇지만 나도 전공자만큼 할 수 있다고 어필하려면 최소 700점 이상은 되야 한다는 말에
이것도 놀면서 열심히(?)하고 있다.

그리고 사실 개발공부는 하지 않고 있다.
개강하면 어차피 하게 될거기도 하고.. 그 때도 아마 계속 텀블벅 펀딩을 위한 내 도전은 멈추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프로젝트가 끝나면 아마 노션 템플릿에 대한 펀딩을 받지 않을까 싶다..!
그 다음으로는 아직 생각을 안했지만.. 노션 템플릿이 다 완성됐을 때 생각하는걸로 했다.
일단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와 노션 템플릿 제작에 온 힘을 쏟고 싶기 때문이다.
(사실 이것들만으로도 벅차긴 하다.)

아 그리고 최근에 논어를 읽기 시작했다.

https://youtu.be/o10SR726y9A

예전에 이걸 보고 언제 한번 논어를 읽어봐야지 했는데, 드디어 읽기 시작했다.
20개의 챕터(?)가 있고, 그 중에 나는 2챕터까지 읽었다.
나는 논어가 산문글인줄 알았는데, 공자왈, 제자왈..
이런 식으로 누군가가 말하는 것을 그대로 기록한 글이라서 처음에 좀 놀랐던 기억이 있다.
글은 짧지만 이걸 곱씹고 생각할 수록 숨겨진 의미가 파헤쳐지는 기분이라 재밌다.
내가 읽고 있는 논어는 민음사의 논어로, 한자 해석과 해석의 해석도 상세하게 써져있는게 특징이다.
내가 출판사까지 말하는 이유는 논어가 출판사마다 해석이 다르다고 들었기 때문이다.
영상에서 나온 책이 민음사의 논어라서 이기도 하다.
처음엔 그래서 그 책만 찾아 돌아다녔다가, 다른 책도 똑같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찾아봤다가 알게 된 사실이다.

또한 최근에 데미안도 드디어 읽게 되었다.
사실 이 책들은 너무 시간만 낭비하는 나에게 속상해지고 이것 때문에 갈등만 빚어지는 것 같아,
지혜를 구하고 싶어 이 책들을 읽게 되었다. 놀기만 하니까 시간도 넘쳐났기 때문이다.

데미안도 역시 너진똑님의 영상을 본 다음에 입문했다.
솔직히 너진똑님의 데미안 해설판이 없었으면 절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 같던 것들이 책을 읽으면서
좀 다르게 와닿았던 기억이 있다.
분량은 생각보다 짧아서 하루만에 완독했던 책이었다.

https://youtu.be/Z0aXJeC4HiE

자세한 줄거리와 소감, 정리는 다른 곳에서 쓰기로 하고...

그럼 오늘의 농땡이(후기글겸 홍보)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다.
아이스크림 먹고 일본어 공부해야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나는 일주일에 한번씩 일주일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얼마나 달성했는지 점검하는 회의를 가진다.
그러다가 거기에서 어떤 이야기를 듣고 난 스스로 자기 합리화하는 내 모습에 부끄러움을 느껴,
그렇게 없어서는 못살던 유튜브를 끊었다.

+ 얼마나 심각했냐면.. 24시간중 8시간은 자고 인나서 나머지 시간들(18~20시간)동안 유튜브를 보다가
    밤에 또 늦게까지 공부하다가(오후 11시~오전 1시) 미루고 늦게 자고 늦게 인나는게(오전 10시~오전 11시)
    생활패턴으로 자리잡았을 정도였다. 자기 혐오가 드는건 당연지사고 거의 폐인처럼 살았다.
    솔직히 시대가 발전하면서 사람이 인터넷에 둘러싸여 사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던과 달리,
    나의 인터넷 사용량은 정도를 넘었던 것이다.

유튜브를 끊은지 1일차엔 그럭저럭 살 만했던 것 같다.
세상과 단절됐다는 느낌을 지울 순 없었으나, 그간 밀렸던 공부들도 할 수 있었고,
시간이 남아 돌아 산책을 할 시간도 났던 것 같다.

이게 나에겐 정말 큰 변화였던 것 같다.
항상 유튜브 보다 보면 시간이 순삭 돼서 할 일도 제대로 못했었는데,
시간이 남아돌아서 뭔가 다른걸 한다???

그리고 그 단절감을 채우기 위해 1일차에서 2일차로 넘어가는 그 밤부터 한국경제 뉴스를 찾아보게 됐다.
그렇게라도 뭔갈 보니까 세상과 단절됐다는 감각이 둔화됐다.
그렇게 2일~3일차까지 뉴스를 봤던 것 같다.

그러다가 본격적으로 4일차부터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다.
아빠가 한창 주식에 대해 공부했을 때가 있었는데, 그 때 아빠가 내 주식 계좌를 만듦과 동시에 주식을 사줬었다.
처음엔 내가 적금으로 50만원을 모았었던 적이 있는데, 이걸로 삼전에 하나씩 샀었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삼전에 몰빵이 되어있었다(..?)
그게 2~3년전인데, 이 때부터 모여진 배당금이 한국돈은 2만원 후반대까지 모였었고, 달러로는 36달러가량 모여있었다.
(국내주식 전용 계좌와 외국 계좌로 나눠져있었다. 아빠가 또 따로 외국돈으로 투자를 해준 것이다.)
사실 이 때까지만 해도 주식은 사회악이라 생각했었다.
주식이 망해서 뭐 컴퓨터를 부셨다느니, 한강 물 알아본다느니 그랬었던 분위기였기도 했고..
딱히 주식을 안해도 일만 해도 살아갈 수 있지 않나라는 지극히 비현실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용돈이 끊기고 생활비가 슬슬 궁핍해지자, 주식을 왜 하는지 비로소 알게 됐다.

이걸로라도 어떻게든 조금이라도 돈을 모아보고 싶었다.
그렇게 주식도 시작하게 됐다. 기업의 가치가 오르내리고, 호가창에 30만주가 생겼다 사라졌다 보는게 재밌었다.
그렇게 나에겐 좀 큰 도전이었는데, 위에서 말했던 배당금으로 투자를 한 결과,
한국의 어떤 회사에 넣어뒀던 주식이 1.33%가 올라서 333원 벌었다! ㅋㅋㅋ

외화로는 버라이존에 넣었다. 처음엔 뭣도 모르고 SOSX(3배 ETF인데 반도체가 오르면 확 떨어지는 인버스 주식이다.)
에 넣었다가 진짜 큰코 다칠 뻔해서 이번엔 배당주 위주로 알아봤던 것 같다.
근데 이 방향은 자본이 좀  많이 필요하다고 해서 고민중이다.
(왠지 빼야할 것 같기도 하고... 나는 자본이 그렇게 많지 않으니 말이다....)

이렇게 변화한게 고작 유튜브를 끊은지 일주일만에 생긴 변화이다.
나는 인스타를 원래부터 잘 안하고 눈팅용으로만 사용했었기 때문에,
인스타를 줄여야겠다는 생각은 딱히 많이 하진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이것도 유튜브 대용으로 사용할 뻔한 적이 있었다.
유튜브를 줄이니까 이번엔 인스타 사용이 저번보다 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스타를 하지 말아야지!' 가 아니라
'어차피 내가 나중에 성공하면 인스타든 유튜브든 실컷 사용할 수 있을테니까 잠깐 미루자'
라는 생각으로 미뤘던 것 같다.
그렇게 인스타 사용량을 유지시킬 수 있었다.

지금 내 핸드폰엔 유튜브 앱은 물론이고, PC 및 모바일 크롬의 유튜브 바로가기도 없다.
그런데도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 딱히 지장이 없는거 보면..
내가 얼마나 유튜브에 시간을 많이 뺏겼고, 살아가는 데에 얼마나 영향이 없는 앱이었는지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물론 불편할 때도 있었다. 공부 강의가 유튜브에 올라와있다거나 보고 싶은 정보가 유튜브 영상이라던가..
그럴 때는 남친에게 가끔 유튜브 영상 어떤거 보여달라고 하면서 디코 화면공유로 같이 봤던 것 같다.

지금은 유튜브 대신 주식창을 보고, 당일 해야 할 공부를 하면서 기말고사를 대비 중에 있다. (D-20)
그리고 이렇게 유튜브를 끊어내니까 내가 할 수 없는게 있을까 하면서 알고리즘 단톡방에서도 잠시 나와서
알고리즘 마스터가 되기 위한 노력도 할 예정이다. (카톡방에 복귀할 때까지 앞으로 D-58)

난 공부할 때 주변에 정말 휘둘리는 성격인 것 같다.
한창 열정이 불타올라, 한 길만 파다가 약간의 회의감+의문(내가 잘 하는건가)이 들어서 고민을 단톡방에 말하면,
이게 부족해서 그런 것 같다라는 말을 듣고, 그걸 채우기 위해 또 노력하던걸 그만두고 다른걸 하고..
또 회의감+의문이 들면 또 그러고.. 무한반복이었다.
덕분에 난 시간을 쏟긴 했지만 어느 한 구석도 마스터한 것이 없었다.
기말고사가 끝난 여름방학엔 알고리즘 마스터가 되어보려고 생각중이다.
https://plzrun.tistory.com/entry/%EC%95%8C%EA%B3%A0%EB%A6%AC%EC%A6%98-%EB%AC%B8%EC%A0%9C%ED%92%80%EC%9D%B4PS-%EC%8B%9C%EC%9E%91%ED%95%98%EA%B8%B0

 

알고리즘 문제풀이(PS) 시작하기

이런건 고수들이나 써야 하지 않나 싶지만, 그래도 1년정도 공부하면서 이 분야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써보려 한다. ▶ 어떻게 공부해야할까? 나는 아직도 PS(Problem Solving)를 잘 못하지만, 주변

plzrun.tistory.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91433923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 YES24

나동빈 저자의 유튜브 라이브 방송 https://www.youtube.com/c/dongbinnaIT 취준생이라면 누구나 입사하고 싶은 카카오 · 삼성전자 · 네이버 · 라인!취업의 성공 열쇠는 알고리즘 인터뷰에 있다!IT 취준생

www.yes24.com

이렇게 두 개를 이용할 생각이다.
기말고사가 6월 10~11일 이렇게 보기 때문에,
이번 학기에 3.5학점 이상을 과락없이 달성하고 바로 알고리즘 공부에 돌입할 예정이다.

그리고 만약 이코테를 다 읽었다면 이 블로그에 독서 카테고리에 이코테에 대한 후기가 올라갈 것이다.
어쩌면 종만북으로 바꿀 수도 있겠지만 뭐.. 그건 미래의 나에게 맡겨보는게 나을 것 같다.
왜냐하면 종만북이 내 생각보다 어려울 수도 있고, 저 글을 4주동안 따라하고 난 후의 이코테는 쉬울 수도 있으니 말이다.

이상 최근 근황이었다.
카클을 수료하고 무력하게 있다가 이렇게 뭐라도 한다는 기분이 드니까 에너지도 생기는 기분이다.
시간이 된다면 이걸 읽는 분들도 한번 도전해보길 바란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